KPT 는 회고 과정중에 진행하는 한 부분입니다. Keep/Problem/Try 는 다음을 의미합니다.
Keep : 잘하고 있는 점. 계속 했으면 좋겠다 싶은 점.
Problem : 뭔가 문제가 있다 싶은 점. 변화가 필요한 점.
Try : 잘하고 있는 것을 더 잘하기 위해서, 문제가 있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가 시도해 볼 것들
**************KEEP과 PROBLEM*****************
-이*민: K:계속 뭔가 로운걸 넣으려고 시도하는 점
P:중간중간 소통이 조금 모자란 느낌이 없지않아 있었다.서로의 코드를 봐준다거나 다른 사람페이지의 디자인을 봐준다거나 더 깊은 소통이 있었으면 훨씬 좋은 결과물이 나왔을듯 하다.
-남*우: K : 회의를 자주 가지면서 현 상황 파악과 목표치 수정을 어려워하지 않았고, 적절한 업무 분담으로 서로에게 득이되는 진행이 이루어졌다.
P : 첫 프로젝트인 만큼 대체적으로 역량이 낮아 더 많은 것을 시도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. 캠프를 진행하면서 발전할 것으로 생각된다.
-박*욱: K : 프로젝트 도중 문제가 있을 때마다 즉시 소통을 통해 해결했던 점
P : 따로 규칙을 정하거나 코드 리뷰를 하지 않아서 조금은 정돈되지 않은 느낌이 있음. 추후 프로젝트엔 코드리뷰나 깃을 조금 더 잘 활용하면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음
-박*우: K: 팀원들이 서로 의견을 나누며 코딩에 추가할 사항을 선택하기도 하였고.중간중간 서로 진행사항을 공유하 며 역할을 분담하였다.
P: 프로젝트가 처음이라 프로젝트 시작할때 SA가 뭔지도 모르고작성하여 빈곳이 많아서 하려는 프로젝트가
무엇인지 확실하게가시화 되지 않았다. 초반부터 이러한 문제점이 발견되어 완성된 결과물이조금씩 어색한 느낌도 들었다.
-김*하: K:자신이 완성하겠다 한 기간에 대체로 맞춘것.
P:<script type="module"> 처럼 명확하게 하나의 파일로 처리해야할 내용을 각자의 화면에 다 넣은것. - (파일 구조 이슈)관용적인 표현(예시: cnt tmp sum ...등)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줄임말을 쓴 변수나 파일명이 많은점.
시작시점에 모든 기능을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아 진행중에 이해한 내용에 차이가 있었던것.
**************TRY*****************
-이*민: 누군가 어떤걸 완성하면 2명이상이 코드 리뷰해보기 개인파트지만 결국 팀 과제다
-남*우: 회의 날짜는 항상 규칙적으로, 정기적으로 하도록 정하고 프로젝트에 임하기. 주어진 시간 외에도 개인 학습과 실패시도를 통해 배워나가기.
-박*욱: 깃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좀 더 익숙해질 필요가 있어보임.(협업의 중요성), 코드리뷰는 반드시 필요할 것 같다, 꾸준한 개인 학습이 필요할 것 같다
-박*우: 소통이 나름 잘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다들 지식의 한계로 인해 빼먹은 부분들이 있다고 생각하기에지식을 현재보다 쌓고 다음 프로젝트 부터는 자신이 가진 지식으로 팀원들에 대한 피드백의 공유와수용이 필요할것같다.
-김*하: 1차적으로 회의를 시작하기전에 회의의 목적을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.대략적으로 "회의를 합시다." 정도의
계획 밖에 없었기에 디테일한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다.git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.pull 리퀘스트가 내가 한것 이외에 거의 올라오지 않았다. 업데이트 로그를 통해 문제 발생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데 그것이 잘 되지 않았다.실제로 메인 파일이 완전히 과거의 것으로 대체당한적이 있어서 로그에서 부활시켰다.
**************TRY선정 및 ACTION****************
선정된 TRY: git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인지를 좀 하고 관리차원에 집중을 더 해야겠다.지식을 쌓고 코드컨벤션의 진행이 필요하다.